1학년 수업
-
06.23
과학 소식
행성상 성운 아벨 7./비카스 챈더(Vikas Chander) 매우 희미한 행성상 성운인 아벨 7(Abell 7)은 지구에서 약 1800광년(光年·1광년은 빛이 1년 가는 거리로 약 9조4600억㎞) 떨어진 곳에 있다. 지구에서 바라보면 오리온자리 남쪽, 토끼자리 방향에 자리하고 있다. 은하수의 별들에 둘러싸이고 먼 배경 은하들과 시선이 겹쳐 있는 이 성운은 지름 약 8광년의 단순한 구형 구조를 가진 듯 보인다. 하지만 심층 망원경 사진을 통해 보면, 그 안에 아름답고 복잡한 구조가 숨어 있다. 이는 장시간 노출 촬영과 필터를 활용해 수소, 황, 산소 원자가 방출하는 빛을 포착하면서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아벨 7은 너무 희미해 맨눈으로는 감상하기 힘들다. 행성상 성운은 항성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매우 짧은 기간 동안 형성되는 천체로, 약 50억 년 후 태양도 이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성운의 중심에 있던 태양과 비슷한 별이 외곽 층을 방출하며 성운을 형성하게 된다. 아벨 7 자체는 약 2만년 된 성운으로 추정되지만, 그 중심에 위치한 희미해지고 있는 백색왜성은 약 100억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1 조회
2025.03.15 등록
NGC 1672: 허블에서 본 막대나선은하. / ESA·Hubble & NASA 많은 나선은하에는 중심을 가로지르는 막대 구조가 있다. 이 사진은 막대나선은하 NGC 1672로,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고해상도 이미지에서 뚜렷하게 보인다. 사진에는 어두운 실 모양의 먼지 띠, 밝은 푸른색의 젊은 별 무리, 이온화된 수소 가스로 빛나는 붉은 방출 성운, 중심을 가로지르는 긴 밝은 막대, 그리고 초거대질량 블랙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밝고 활동적인 핵이 보인다. NGC 1672에서 출발한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는 데는 약 6000만년이 걸리며, 이 은하는 약 7만 5000광년(光年·1광년은 빛이 1년 가는 거리로 약 9조4600억㎞)에 걸쳐 펼쳐져 있다. 황새치자리(Dorado) 방향에 위치한 NGC 1672는 나선은하의 막대 구조가 은하 중심부의 별 형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연구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1 조회
2025.03.15 등록